디자인할 SITE 를 클라이언트와 함께 방문하여 원하는 디자인, 개선되어야 할 부분, 라이프스타일, 공간의 적합성에 대한 의견을 자유롭게 나눕니다.
보통 기존 조성된 공간의 경우 기존 조성되어 있는 공간에서 최대한 살릴 부분과 그렇지 않을 공간을 구분하여 어느 포인트부터 시작을 할지 결정을 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클라이언트와 세심한 부분까지 결정을 합니다.
새로 시작된 공간인 경우 라이프스타일 혹은 공간의 컨셉에 중점을 두고 어떻게 균형을 맞출 지 클라이언트와 상의합니다.
이 과정은 앞으로 어떻게 진행이 될것이며, 비용문제와 공사진행 방법까지 다양한
소통을 기반으로 합니다.
보통의 경우엔 방문하여 측량하고 표시할 수 있는 것은 모두 다 촬영하고 측정하고 기록합니다. 도면이 있는 경우엔 클라이언트에게 요청하며, 주변 토지 상황 혹은 주변공간에 대해서도 조사합니다. 방향, 바람,조도 등에 따른 공간의 특성,지형의 레밸, 수평상태,전기 배선위치, 배수관 위치등을 도면에 기록합니다.
사이트가 가진 상황에 따라, 크기에 따라 현황측량이 필요할 때가 있습니다.
그땐 클라이언트와 상의하여 현황 측량비용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design concept
디자이너가 공간을 보고 영감받은 이미지 혹은 드로잉을 통해 공간의 일관성과 균형을 잡는 작업입니다.가장 기본이 되는 작업이지만 전체디자인의 분위기 칼라 텍스쳐 등등의 뼈대를 세우는 작업이기에 매우 중요합니다.
받은 영감을 바탕과 디자인을 바탕으로 공간전체 디자인을 제시하는 도면입니다. 컨셉,식재의 위치,플랜트 컨셉 모두 제시하는 도면. 이도면을 통해 전체적인 디자인의 흐름 뿐 아니라 전반적인 작업의 양을 함께 가늠 해볼 수 있습니다.
마스터플랜과 함께 실제 scalle을 알아보기 위한 도면입니다.또다른 건축적 요소가 들어갔을 때 담장이나 계단 수공간 등의 실제 치수와 비율 을 확인해 보는 과정입니다.
경우에 따라 조경에 구조물이나 여러 지형 디자인을 좀 더 실제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시뮬레이션해보는 작업입니다.이작업을 통해 실제 치수와 공간의 균형을 조율합니다.
영감받은 컨셉을 바탕으로 계절별 칼라별 종류별 플랜팅을 계획하고 디자인합니다.
플랜팅디자인을 할 때는 기후와 온도 지형 흙의 성질 등을 모두 고려합니다.
이때 필요한 식재의 수량도 함께 계획합니다. 하지만 스케쥴이 조정될 시에 기존 디자인한 플랜팅 종류와는 변동이 생길 수는 있습니다. 최대한 처음 디자인한 식재로 조성하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on construction
도면작업이 끝나고 클라이언트와 디자인협의와 견적협의가 끝나면
시공, 식재, 정원에 필요한 컨스트럭션 작업이 날씨 상황에 맞추어 스케줄을 계획합니다.
기본밑작업으로 철거가 먼저 될 때도 있고, 흙보강 혹은 덜어내는 작업이 먼저 되기도 합니다.
모든 작업과정은 클라이언트와 공유하며 진행됩니다.
추가진행이 될 때엔 반드시 클라이언트와 먼저 상의합니다.